📃 HISTORY | LG트윈타워, 이상도시의 꿈을 이어가다 🏢 LG트윈타워 로비 및 아케이드 리모델링
🏠 청운동 작은집
🏠 청운동 P씨댁
🏠 형태 속의 이야기들: 서재원 × 김효영
📃스테이, 그 다음: 지랩 (1)
📢 도시를 바꿀 대지의 생: 2026 수성국제비엔날레 <리빙 그라운드> 프리비엔날레
📢 공모 소식
🔖 서로 다른 몸으로 엮은 연대: <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
🔖 2025 UAUS 14th 파빌리온 전시 <Ask Nature: Biomimicry> |
|
|
LG트윈타워, 이상도시의 꿈을 이어가다
자료제공 LG그룹, SOM,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
|
LG트윈타워 로비 및 아케이드 리모델링
설계 SOM+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
|
청운동 작은집
설계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옛것들이 아직 많이 남은 동네 서촌에 정착하기로 마음먹은 집주인의 마음에서부터 설계는 시작된다. 주변의 한옥에서 보이는 처마와 담장, 옆집 다가구주택의 베이윈도, 사람들을 반기는 구멍가게의 어닝, 집밖으로 내놓은 화분들은 새로 지어질 청운동 작은집이 어떠한 모습을 띠어야 하는지 넌지시 알려준다. |
|
|
청운동 P씨댁
설계 김효영건축사사무소
청운동 언덕을 오르다 보면 10m가 넘는 축대 위에 비슷한 모양의 2층 벽돌집들이 올려져 있다. 1987년에 함께 지어진 일곱 채 중 안쪽 끝에 위치한 이 집은 옹벽을 넘어 드리워진 울창한 소나무 두 그루 덕에 예전엔 소나무집으로 불렸다고 했다. 이곳에서 부모님과 살다가 결혼하며 미국으로 떠났다가 돌아온 건축주는 옛집의 기억을 더듬었고, 집을 고치는 일은 끊어진 시간을 다시 잇는 일이 되었다. |
|
|
형태 속의 이야기들: 서재원 × 김효영
최근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김효영건축사사무소가 청운동에 각각 주택을 완공했다. 규모, 신축과 리모델링이라는 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용도가 같다는 점에서 대별할 수 있는 기본 바탕은 갖추었다고 보았고, 크로스 크리틱을 통해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았다. |
|
|
스테이, 그 다음: 지랩 (1)
인터뷰 노경록 지랩 공동대표, 강해천 지랩건축사사무소 대표 × 방유경 기자
“스테이 경험의 시작은 문을 열고 들어갔을 때, 특별한 감각을 지닌 호스트가 세심하게 준비해놓고 떠난 환대의 공간과 분위기를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다.” 일상과 비일상 사이에서, 스테이를 통해 건축이 경험으로 완결되는 서사를 설계해온 지랩. 지난 10여 년간 이들의 활약은 스테이가 하나의 장르로서 독자적 시장을 형성하며 자리 잡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지랩이 제주를 중심으로 선보인 공간을 함께 돌아보며 스테이의 발전과 진화,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
|
도시를 바꿀 대지의 생:
2026 수성국제비엔날레
<리빙 그라운드> 프리비엔날레
7월 9일, 호텔 수성 피오니홀에서 2026 수성국제비엔날레 프리비엔날레가 진행됐다. 건축과 조경 분야를 아우르는 수성국제비엔날레는 1회차와 마찬가지로 건축과 조경 분야에서 각각 1명씩 공동 예술감독을 선정했다. 공동 예술감독 김아연(서울시립대학교 교수)과 존 홍(서울대학교 교수)은 ‘리빙 그라운드(Living Ground)’를 주제로 내세웠다.
|
|
|
디자인혁신 전통시장 조성 디자인 및 설계공모
당선 없음
2등작 (주)오피스언노운건축사사무소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마당 프로젝트 공모
당선 하이퍼스팬드럴(대표 전재우)+고재협+오나예(공동 응모작) |
|
|
돌봄과 친밀함으로 연결되는 우리:
<타티아나 빌바오 에스투디오: 방들의 도시>
멕시코 출신 건축가 타티아나 빌바오는 이번 전시에서 “현대 주택의 ‘방’은 가정이란 기능에 맞춰 초고도로 전문화된 도구”라고 설명하며, 전통적인 집의 개념에서 벗어나 집이란 무엇인가가 아니라, 집이 왜 이러한 모습을 가지게 됐는지 질문한다.
|
|
|
2025 UAUS 14th 파빌리온 전시
<Ask Nature: Biomimicry>
올해로 14주년을 맞은 UAUS(대학생건축과연합회)가 생체모방(Biomimicry) 건축을 소재로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생체모방이란, 자연의 생명체가 가진 형태, 기능, 그리고 시스템으로부터 배우려는 것을 뜻한다. 전시는 이번달 18일부터 시작되며,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다.
기간 2025. 8. 18(월) – 2025. 8. 27(수) 장소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참여자 UAUS 소속 26개 대학 건축학과 약 350명 주최/주관 서울특별시, UAUS / UAUS
|
|
|
오늘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뉴스레터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
|
월간 「SPACE(공간)」 spacemagazine00@gmail.com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2-20, 3층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