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호 프레임 주인공 네임리스 건축은 이번 호에서 '콘크리트와 돌', '물질과 비물질', '땅과 건축' 등 서로 다른 두 대상 사이의 경계를 넘어서는 관계의 중요성에 주목했는데요. 그들의 이러한 태도는 앞서 던졌던 36개의 질문( 「SPACE(공간)」 639호 참고)과 13개의 단어( 「SPACE(공간)」 605호 참고)에서도 드러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지금까지 SPACE가 기록해온 네임리스 건축의 궤적을 그들의 질문과 단어 위에 맵핑해봤습니다. 네임리스 건축이 꾸준히 경계를 넘으며 물성에 대한 탐구로 이어져온 맥락을 발견해보세요.
*다음 주 금요일(9/29)은 추석 연휴로 한 주 쉬어갑니다.
|
|
|
🪵근본, 뿌리로부터
__
건축은 중력에 맞서 부유할 수 있는가? 건축은 단단한 존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배울 것인가? 어떻게 놀 것인가? |
|
|
「SPACE(공간)」 2018년 04월호 게재
미래 고고학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자세히 보기 |
|
|
「SPACE(공간)」 2018년 04월호 게재
아홉칸 집
> 자세히 보기 |
「SPACE(공간)」 2023년 09월호 게재
언덕 위의 집
> 자세히 보기 |
|
|
🪹자연 그리고 인공
__
자연과 인공의 차이는 무엇인가? 인공 속 자연, 자연 속 인공?
자연의 경험을 건축화할 수 있는가? |
|
|
「SPACE(공간)」 2021년 02월호 게재
자라나는 숲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401-14
> 자세히 보기 |
|
|
🪨콘크리트 돌
__
콘크리트와 돌은 본질적으로 다른 재료인가?
수직적으로 켜켜이 쌓인 돌의 풍경이 도시에 들어선다면? 이 시대의 원시 오두막은 무엇인가?
|
|
|
「SPACE(공간)」 2018년 04월호 게재
B 갤러리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153
> 자세히 보기 |
|
|
「SPACE(공간)」 2023년 09월호 게재
콘크리트월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청풍호로 1566
> 자세히 보기 |
|
|
〰유동성에 대하여
__
거주자가 만들어가는 공간은?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는 공간은?
안과 밖이 흐르는 공간은? 길이 건축이고 건축이 길이 되는 공간은? |
|
|
「SPACE(공간)」 2021년 02월호 게재
S 라이브러리
📍서울시 양천구 안양천로 739
> 자세히 보기 |
|
|
「SPACE(공간)」 2021년 02월호 게재
다이얼로그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61
> 자세히 보기 |
「SPACE(공간)」 2023년 09월호 게재
동화고 어울림동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434
> 자세히 보기 |
|
|
「SPACE(공간)」 2022년 08월호 게재
공간태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수통골로9
> 자세히 보기 |
|
|
🫧공감각과 경험
__
빛과 그림자가 경험된다면? 위가 아래이고 아래가 위가 된다면?
부드러운 천이 쌓여서 가구가 된다면? 공간이 발효된다면? |
|
|
「SPACE(공간)」 2018년 04월호 게재
아치 ― 1개의 방, 150개의 빛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275-51 클레이아크
> 자세히 보기 |
|
|
🌖유희적이거나 시적인
__
열리고 동시에 닫히는 공간이 가능한가? 벽이 창이고 창이 벽이 될 수 있는가?
언제부터 의자 다리가 네 개였나? 지금부터 두 개의 달이 뜬다면? |
|
|
「SPACE(공간)」 2021년 02월호 게재
달빛노들
📍서울시 용산구 양녕로 445
> 자세히 보기 |
「SPACE(공간)」 2023년 08월호 게재
고온리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산146
> 자세히 보기 |
|
|
네임리스 건축의 프로젝트를 지도에 담았습니다. 님의 지도에 저장해서 직접 방문해보세요!
지도 활용법
- 아래 '지도 페이지 방문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페이지의 화면 하단 '지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연결된 지도 좌측 상단 '+리스트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 「SPACE(공간)」에 실렸던 프로젝트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2주 동안(9/22~10/5) 아래에 소개드리는 E-매거진을 무료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호를 클릭하면 E-매거진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
|
「SPACE(공간)」 2021년 02월호
"네임리스 건축의 문장에는 유난히 물음표가 많다. 선언과 주장을 펼치며 마침표로 문장을 종결 짓기보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질문을 던지며 물음표로써 여지를 남긴다. 이들의 작업도 마찬가지다. 건축의 관성에서, 규칙에서, 전형성에서 달아나며 이제까지 온전한 영역에 위치해 있던 건축에 아주 미세한 틈을 긋는다. 그 틈은 때로는 우연하게 만들어지기도, 철저한 의도하에 이루어지기도, 결정을 유보하는 상황으로 인해 빚어지기도 한다. 이번 프레임은 네임리스 건축이 밟아온 지난 12년을 되짚어보며 그간의 질문들을 다시 넓게 펼쳐본다." |
|
|
「SPACE(공간)」 2018년 04월호
"세상에 순수한 원형 혹은 완벽한 전형이 존재할까? 우리의 가깝고 평범한 주변은 불완전한 것들로 가득 찬 세계다. 나은중과 유소래는 이를 깊이 인지하고, 이 불완전한 세계 속에서 자신들의 건축이 고정적인 근간을 어떻게 흔들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인공과 자연, 단순성과 복합성, 가벼움과 무거움, 영속성과 일시성 사이의 관계를 오가며 건축적 행위의 근본을 새롭게 탐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의 건축은 어떤 건축적 유형에 갇히기보다 마치 우연히 발견된 원시의 공간처럼 잠재된 가능성을 껴안는다. 이런 건축을 ‘아직 이름 붙여지지 않은 건축(nameless architecture)’이라고 부르면 어떨까." |
|
|
「SPACE(공간)」 2023년 09월호
관계와 경계: 네임리스 건축
|
|
|
매거진 B 편집부 지음 | REFERENCE by B 펴냄
|
에이리가족, 네임리스건축 지음 | 안그라픽스 펴냄 |
|
|
🎁EVENT
*베트남 건축 관련 기사 후기 작성 이벤트 당첨자에게는 DM 드렸습니다. 메일함에서 확인해보세요! |
|
|
월간 「SPACE(공간)」 spacemagazine00@gmail.com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2-20, 3층
|
|
|
|
|